• KLAS 종합정보서비스
  • 발전기금
  • WEB-MAIL
  • SITEMAP
  • Search

국제학부국제지역전공

위치 : 한울관 106호

학과문의 : 02-940-5485

팩스번호 : 02-940-5485

홈페이지 : https://kwdois.my.canva.site

교과목안내

교과목 안내

국제정치의 이해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Politics

글로벌화 시대의 국제정치의 주요 현안문제의 이해를 통해 국제사회 및 국제정치를 분석하는 시야를 가지게 한다. 또한 국제정치의 작동원리, 주요 행위자, 국가간 상호의존, 국제사회의 협력과 갈등을 통해 국제사회 속에서의 한국을 이해하게 한다.

동북아국제관계 International Relations in Northeast Asia

동북아시아 국제관계의 동학을 구조적으로 이해하도록 하는데 강의의 목적을 둔다. 미국, 중국, 일본, 그리고 러시아의 동북아정책을 학습하고, 동북아 국제관계의 현실 속에서 한국이 지향해야 할 대외정책을 고민해 보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국제화시대를 살아가는데 필요한 지혜를 함양하도록 한다.

동북아관계사 Hist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in Northeast Asia

동북아시아의 국가들이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전반까지 상호 혹은 제3국과 맺은 주요 조약 및 협정의 내용과 목적을 검토하고, 그 역사적 의의를 고찰한다.

전공진로탐색 Exploration of Career Development in IR Major

수험생들이 진출하기를 희망하는 기관, 기업 등에 대해 스스로 조사하여, 사회진출을 위해서 어떠한 준비를 해야 하는지 파악하여 향후 대학생활의 방향을 정할 수 있도록 한다.

중국학개론 Introduction to Chinese Studies

이 과목은 지역학으로서의 중국학의 기초를 이해하기 위한 입문과목으로, 중국의 정치와 경제, 역사 및 사회와 문화 등을 포괄적으로 소개한다.

일본학개론 Introduction to Japanese Studies

이 과목은 지역학으로서의 일본학의 기초를 이해하기 위한 입문과목으로, 일본의 정치와 경제, 역사 및 사회와 문화 등을 포괄적으로 소개한다.

국제경제의 이해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Economics

이 과목은 세계경제의 흐름과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알아야 하는 이론과 개념을 살펴보고, 실제 일어나고 있는 국제경제 이슈에 대한 분석 능력 배양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국제무역의 기본원리와 무역정책, 지역경제통합, 경제협력기구, 다국적기업, 국제금융사장 등에 관한 내용을 많은 사례와 함께 폭넓게 다루며, 미국, 중국 등 주요 국가의 세계경제에 대한 역할과 한국경제와의 관련성 등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외교정책론 Theory & Practice of Foreign Policy Making

외교정책 결정과정, 외교정책의 집행 등 외교정책의 일반이론을 학습한 후, 주요 국가의 외교정책을 비교ㆍ분석하여 현대 외교정책을 이해하게 한다.

중국경제개론 Introduction to Chinese Economics

이 과목은 중국경제의 발전과정을 비롯하여 주요 현안 이슈와 문제점, 그리고 향후 발전 전망 등을 다룬다. 중국이 짧은 시간 내에 급속 성장을 이룰 수 있었던 원인과 중국식 시장경제의 특수성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제 및 산업구조, 한국과의 경제관계도 함께 살펴본다.

현대일본지역과 사회 Region and Society in Contemporary Japan

본 강의에서는 일본의 지역과 사회구조를 파악하고, 일본사회에 지속되는 주요 문제를 동시대적 시각으로 검토함으로써, 현대 일본사회의 양상에 대한 입체적 이해를 향상시키도록 한다.

일본경제개론 Introduction to Japanese Economics

이 과목은 일본경제를 형성해 온 역사적, 사회적, 문화적 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 현대 일본경제의 구조와 특징을 파악한다.

한국정치론 Korean Politics

한국정치문화, 개화기 이후 한국정치사, 한국전쟁, 민주화운동, 민주화 이후의 한국정치 등을 위주로 강의를 진행하여,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정치적 위상을 이해하도록 하고 한국이 직면한 정치적 현실과 해결방안을 탐색해 보는 기회를 제공한다.

중국정치외교론 Chinese Politics and Foreign Policy

중국의 정치사, 주요 정치지도자, 정치제도, 정치 민주화 전망 및 중-미관계, 중-일관계 등을 논의하고 중국의 국력 증강이 동아시아 국제질서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고 전망해 봄으로써 중국전문가로서의 자질을 함양한다.

현대중국사회론 Theory of Modern Chinese Society

현대 중국사회의 기본 구조가 전통시대로부터 사회주의시기를 거치면서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살펴보고, 개혁시기에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사회구조적 변화들의 내용과 의미에 대해 논의한다.

한일관계론 Contemporary Korea-Japan Relations

한·일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외교안보 및 경제 이슈들을 논의함으로써 한일관계 전문가로서의 시각을 갖추도록 한다.

일본산업경제론 Economic theory of Japanese Industry

이 과목은 경제이론 및 정부정책을 통해 일본산업의 구조 변화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 과목에서는 일본산업과 관련하여 주로 기업의 투자 변화, 가계의 소비 변화, 정부 정책의 변화를 연계하여 공부한다. 또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역할 변화와 일본 기업의 특징에 대해서도 공부한다.

일본정치외교론 Japanese Politics and Foreign Policy

일본의 정치사, 정치행위자, 정치제도, 정치문화, 그리고 대외 행위에 대해 학습하고 토의함으로써 일본의 정치현실을 체계적으로 분석ㆍ전망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동아시아환경과에너지정책 Energy and Environmental Policy in East Asia

이념대립이 사라진 현대 국제관계에서 인구문제, 과학기술발전, 에너지 소비와 환경파괴, 자원고갈 등은 새로운 국가 간 갈등을 야기하는 요인으로 대두되었고, 동아시아는 특히 환경오염과 에너지 고갈에 따른 물리적 갈등이 첨예하게 나타나는 현장이다. 본 수업은 강의와 토론을 통해 동아시아 환경문제와 에너지 소비간의 연계를 고찰하고 미래사회를 위한 지속가능발전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중국의사회와문화 Chinese Society and Culture

본 과목은 중국의 전반적인 사회제도, 의식체제, 문화관습 등에 대한 고찰을 통해 학습자들의 중국지역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중국사회의 현안이슈, 문화적 특징을 토론 등을 통해 학습하고 한국과의 차이점을 탐구한다.

통일북한특강 Special Topics on North Korea and Unification

통일시대를 맞이하여 북한과 한반도 통일환경을 이해하고, 통일이후 한반도 국제환경이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를 이해하는 동시에, 통일시대를 위한 대학생의 바람직한 자세와 준비방향을 제시한다.

한중관계론 Contemporary Korea-China Relations

정치ㆍ경제ㆍ문화ㆍ안보 분야에서 한국과 중국 간에 일어나고 있는 교류의 내용과 특징을 체계적으로 논의하고, 한ㆍ중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이슈들을 분석한다.

동북아도시와지역 Urbanism and Locality in Northeast Asia

동북아 주요 도시와 지역의 사회ㆍ역사ㆍ문화에 대해 학습하고 그 연관성과 차이를 이해한다. 한ㆍ중ㆍ일 각국의 주요 도시와 지역의 변천사에 대한 비교와 상호관계의 관점에서 동북아의 정치ㆍ경제ㆍ사회ㆍ문화적 변동을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미국정치론 U.S. Politics

미국의 국내정치와 외교정책에 대한 이해를 본 강의의 목적으로 한다. 미국의 정책결정모델과 대통령과 관료기구, 군과 정보기관, 의회, 여론과 언론 등의 행위자를 중심으로 미국외교정책의 국가적ㆍ사회적 결정요소를 살펴본다. 21세기 미국과 동북아, 미국과 한반도의 문제를 다룬다.

중국연구세미나 China Research Seminar

본 과목은 중국지역학 분야의 특정 주제(역사, 문화, 경제산업제도 등) 를 선정하여 체계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세미나 방식으로 중국학에 대한 심도 있는 학습을 제공하고자 한다.

중국기업경영 Business management of Chinese Companies

중국 시장환경의 특수성과 글로벌 기업경영 주요이슈(지배구조, 국제화, 다각화 전략 등) 등을 학습하고, 중국 기업들의 다양한 사례를 통해 경영이론과 실무지식을 함께 함양하여 국제적인 비즈니스 안목을 갖추도록 한다.

일본인과 일본문화 Japanese and Japanese Culture

고대부터 일본열도에서 생활해 온 일본인과 그들이 빚어낸 문화의 특징은 무엇인지를 검토하는 개론 형태의 과목이다. 일본의 지리, 기후, 농경, 종교, 천황, 봉건제 역사, 언어, 과학의 발전 등을 감안하면서, 근대부터 현대까지 제기된 '일본인론'의 흐름과 그 특징을 파악하고자 한다. 그를 통해 동아시아에 속하면서도 특이한 일본문화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킬 것이다.

일본시민운동론 Studies on Civil Movement in japan

본 강의에서는 일본 시민운동의 역사, 지역적 특징, 국제연대 상황 등을 파악함으로써, 시민운동의 보편성에 대해 고찰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일본연구세미나 Japan Studies Seminar

본 강좌는 일본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역사 등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다룸으로써 심층적으로 일본을 학습하는데 필요한 역량을 갖도록 하는 데 목적을 둔다.

지구화와동아시아사회 Globalization and East Asian Societies

이 과목은 동아시아사회가 지구화에 따른 자본, 사람, 기술, 문화 등의 초국적 흐름들로 인해 공통적으로 경험하고 있는 복합적인 변화의 양상들과 사회적 이슈들을 살펴본다.

중미관계론 US-Chinese Relations

중-미관계의 발전과정을 살펴보는 시간을 갖고, 양국 관계에 존재하는 다양한 현안과 갈등을 논의함으로써 중-미관계의 특징과 미래를 전망하는 한편, 중-미 간 갈등과 경쟁이 심화되는 국면 속에서 한국이 지향해야 할 바람직한 정책대안이 무엇인지를 고민해 보는 기회를 제공한다.

Capstone Design Seminar : 국제관계 Capstone Design Seminar : International Relations

이 과목은 안보 정책, 환경 정책, 경제 정책, 세계화와 인권에 초점을 맞추어 국제적인 체계 하에 선택된 국가들에서 공공 정책을 형성하는 과정들에 대하여 조사하고 그것이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 탐구한다.

Capstone Design Seminar : 중국 Capstone Design Seminar : China

중국에 대한 관심이 많고 일정한 중국어 능력을 갖춘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중국어 원어강의로써 중국의 경제, 사회, 문화 분야의 현안 이슈를 중심으로 강의와 소그룹 중심의 발표 및 토론을 통해 진행한다. 이에 따라 수강생들의 중국어 소통 능력 제고, 팀워크 능력 향상, 중국 지역에 대한 이해도 증가 등 학습효과가 기대된다.

신안보문제세미나 Seminar on New Security Issues

환경문제, 보건위생문제, 노동력 이동, 마약, 테러 등 동북아의 새로운 안보문제를 심층적으로 논의한다.

국제위기관리론 Theory of International Crisis Management

위기관리이론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북핵위기, 대만해협위기, 동아시아금융위기 및 아프간인질사태 등 위기관리 사례에 대한 세미나를 진행함으로써 복잡한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데 필요한 위기대처 능력을 향상시킨다.

Capstone Design Seminar : 일본 Capstone Design Seminar : Japan

전공과정에서 일본 지역에 대해 학습했던 내용을 정리하는 의미에서, 수강생 각자가 일본지역 및 한일관계에 관한 주제를 선택하여 그에 관한 논문을 작성한다. 독창성 있는 주제의 설정, 관련 참고자료의 수집, 논리의 구성, 논문작성 방식 등을 연습하면서, 최종적으로 수강생 각자가 선택한 주제의 논문을 완성하여 제출한다. 언어는 최대한 일본어를 사용한다.

국제학특강 Contemporary Topics in International Studies

국가들 간의 정치, 경제, 군사, 외교 사회문화 등 국제관계와 관련된 제반사항을 논의한다.

중국마케팅전략 China Marketing Strategy

중국시장 환경과 소비자의 소비패턴 및 의식변화를 살펴보고 중국 시장의 특징, 유통채널과 마케팅 트렌드를 이해하는 것이 본 과목의 목적이다. 중국시장에서 차이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이론적 프레임을 학습하고, 아울러 중국에 진출한 다국적 기업들의 성공적인 마케팅 사례를 분석하고 최근에 일어나고 있는 디지털 마케팅 전략도 더불어 알아보고자 한다.

국제협상 International Negotiation

국제협상의 개념과 특징, 협상의 5대 요소, 주요 협상이론, 협상구조와 협상자 딜레마, 이문화 이해와 의사소통, 성공적인 협상전략과 협상전술 등에 대해 학습하고, 팀별, 개인별 연구주제를 정해 발표 및 토론한다.

경력개발과취업전략 Career Development and Employment Strategies

국제학부 3, 4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강좌로서 국제학부 졸업생들이 주로 진출하는 일반 사무직, 국제업무, 중국계 및 일본계 기업, 유통 및 서비스, 창업 및 문화 등 취업을 위한 정보교환과 선배들의 특강으로 교과목이 구성된다.

캡스톤디자인세미나:글로벌협력 Capstone Design Seminar: Multilateral Cooperation on Global Issues

글로벌협력 캡스톤디자인 세미나는 안보, 환경 & 에너지, 인권, 마약, 이민, 난민, 빈곤 등 국제사회의 지속적인 협력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초월경성 문제의 현황을 분석하고, 한국의 축적된 소중한 지식과 경험을 국제사회와 공유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는 수업이다. 강의, 자료분석, 프로젝트 수행 등 다양한 수업방식을 차용하여 국제문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문제해결 방안을 찾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앞으로 살아 갈 세계를 지속가능하고 안전한 곳으로 만드는데 기여하는 세계시민으로서의 인식과 의지를 함양할 수 있다.

글로벌 이슈와 쟁점 International Politics and Global Issues

이 과목은 글로벌화 시대 국제사회의 주요한 현안의 이해를 통해, 국제사회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시야를 가지게 한다. 또한 국제사회의 작동원리, 주요 행위자, 국가 간의 상호의존은 물론 국제사회의 협력과 갈등 등을 통해 국제사회 속에서의 한국을 이해하게 하는 교과목이다.

담당부서 : 정책법학대학 교학팀 / 연락처 : 02-940-5561
교육 KW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