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LAS 종합정보서비스
  • 발전기금
  • WEB-MAIL
  • SITEMAP
  • Search

전자바이오물리학과

전자바이오물리학과는 물리학을 기본으로 하면서 바이오학의 지식을 첨단 전자 산업기술과 바이오 산업기술에 응용 및 융합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교육내용은 역학, 전자기학, 양자역학, 생물학과 같은 기초이론을 토대로 반도체, 플라즈마, 마이크로파 공학,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바이오 기술 등과 같은 응용물리학 및 바이오 분야를 포함합니다. 전자학, 전산물리 그리고 첨단기술과 관련한 고급주제에 대한 실험교육을 특별히 강화하고 있으며 대학원생들은 주로 반도체. 디스플레이(LCD, OLED, PDP 등), 태양전지, 플라즈마 물리 및 바이오 플라즈마, 그리고 이온 접속빔을 이용한 연구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위치 : 옥의관 708호

학과문의 : 02-940-5230

팩스번호 : 02-942-0108

교과목안내

교과목 안내

역학

벡터의 해석, Newton의 운동법칙, 에너지와 일, Potential 이론 등 기초적인 물리 개념을 습득한다.

물리학개론

일상생활 및 산업계에서 기초 및 응용할 수 있는 분야인 유체역학 기초, 열역학 기초, 기체운동론 기초 등 일반물리학과 함께 기초역학을 토대로 뉴톤역학의 이론적 뼈대를 공부한다.

현대물리개론

양자이론에 중점을 두고 원자, 분자의 전자 구조에 대한 응용까지 다루고, 현대 기술 문명의 기저를 이루고 있는 20세기 새로운 물리적 시각을 소개한다. 현대물리학의 기본개념을 이해하고, 이에 관한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함으로써 전공과목을 보다 효과적으로 숙달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하기 위하여 상대성이론, 파동학, 양자역학, 고체물리학 및 통계물리학 등에 관한 기본개념을 주로 다룬다.

양자물리개론

양자이론에 중점을 두고 원자, 분자의 전자 구조에 대한 응용까지 다루고, 현대 기술 문명의 기저를 이루고 있는 20세기 새로운 물리적 시각을 소개한다. 현대물리학의 기본개념을 이해하고, 이에 관한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함으로써 전공과목을 보다 효과적으로 숙달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하기 위하여 상대성이론, 파동학, 양자역학, 고체물리학 및 통계물리학 등에 관한 기본개념을 주로 다룬다.

전자기학1,2

전자기학은 전자기현상에 대한 기본법칙과 이들의 물리학에서의 활용을 배우는 과목이다. 강의내용은 진공과 물질내에서의 전기장, 정전기 문제의 해법, 유전체, 전류와 전기회로, 전류의 자기적 작용과 자기장, 정자기 문제의 해법, 자성체 등이다. Faraday의 전자기유도법칙, 자기유도와 상호유도, Maxwell 방정식, 전자기장에서 전하의 운동, 초전도성, 전자기파 이론, 전자기파의 반사, 굴절, 간섭, 회절, 분산 및 복사 방출 등을 주로 공부한다.

양자역학1,2

Schrodinger 파동방정식에서의 파동함수의 물질적 의미와 해를 찾는다. 일차원 포텐셜에 대한 Schrodinger 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방법을 강의한다. 수소원자 문제의 해를 구하고, 각운동량, 스핀, 섭동이론을 이용한 Zeeman 효과 및 Stark 효과, 전자기파와 물질의 상호작용 등을 논의한다.

전자학1,2

저항, 커패시터, 인덕터 등 기초적인 회로소자 및 기초 전자회로를 이해하고, 아날로그 회로 이론 정립에 주력하여 이후 전공과목 수강에 필요한 기초지식을 습득하도록 한다. 반도체의 원리와 다이오드 및 트랜지스터의 특성을 이해하고, 아날로그 응용 회로의 이해에 주력하여 전공과목 수강에 대한 기초지식을 습득하도록 한다.

물리수학1,2

역학, 광학, 전자기학 등의 물리학은 자연 현상을 수학적으로 기술하고 이해하고 설명한다. 이러한 수학적 해석을 위한 기초지식으로, 학부 과정의 물리학을 공부하는데 필요한 수준의 미분방정식, 벡터, 복소수 변수, 선형대수 등을 배운다.

전자학실험1,2

저항, 커패시터, 다이오드 및 트랜지스터 등 회로소자의 특성을 이해하고, 직접 여러 종류의 아날로그 회로에 적용하는 실험을 수행한다. B급 푸쉬-풀 증폭기, 차동 증폭기, OP-증폭기, RC 및 하틀리 발진기 등이 실제 회로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실험을 통하여 학습하고, 그 응용분야를 공부한다.

마이크로파물리학

전자기파를 주제로 한 전자기학의 3학기 과정에 해당된다. 전자기파를 토대로 마이크로파의 성질 및 발생 과정, 구속, 전송을 위한 제어 수단 등을 소개한다. 마이크로파의 도파관, 공명기 등의 기본원리 및 마이크로파의 진동수 및 출력 측정에 관한 기본원리를 다루고, 또한 공학적인 조작을 위한 기초개념을 공부한다.

디지털회로설계 및 실험1,2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비교로부터 시작하여, 논리게이트 및 진리표, 부호 등에 관해서 강의한다. 부울대수, 드모르간 정리 등 간단한 이산수학의 내용도 강의한다. Flip-flop, 덧셈회로, 계수기(counter) 및 등록기(register)외 다양한 디지털 회로를 어떻게 구현하는지와 그 응용에 대하여 강의하고, 디지털 회로 설계 수업에서 얻은 지식을 실험을 통하여 깊이 이해한다. VHDL/PLD, 아두이노를 이용하여 디지털 회로를 설계하는 방법을 배운다. 회로 소자들을 연결할 때 생기는 문제점과 해결방안, 아날로그와 디지털 회로 사이사이의 연결 변환 방법을 공부한다.

정보디스플레이개론

LCD, PDP, 유기EL 등 정보 디스플레이 소자/장치의 원리와 특성을 고찰하여 정보 디스플레이 분야에 대한 포괄적인 전문 지식을 습득하도록 한다.

반도체소자물리학1,2

Silicon과 같은 Ⅳ족 반도체를 중심으로 반도체의 전기적 그리고 광학적 성질과 그들의 소자에 대한 응용을 물리적 기초 개념을 통해 이해하고자 함이 본 교과과정의 주된 목적이다. 결정의 구조와 성장 방법 등에 대한 간단한 소개와 양자 역학적 기초 개념들을 이해하고, 이를 기초로 에너지 띠와 반도체 내부에서의 전하 운반자 즉 전자와 정공에 대한 공부를 할 것이며, drift 와 diffusion 에 대한 소개도 교과에 포함된다. 반도체 물질의 결정구조, 에너지 띠, 전자-홀의 이동, 불순물 도핑 등에 대한 이론을 배우고, 이를 토대로 반도체 소자의 원리 및 특성을 이해하는 내용의 교과목이다.

광전자실험

전자소자, 광소자, 광전자소자의 여러 특성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는 교과목이다.

열물리학

열역학의 기본 개념, 기체의 상태 방정식, 열역학 1, 2, 3 법칙, 열과 일, 엔트로피, 열역학적 포텐셜, 위상변이, 저온물리 및 열역학의 응용 등을 다룬다.

고체물리학

결정구조, 회절, 결정결합, Phonon과 격자진동과 열적 성질, 전자기체와 금속, 에너지 띠, 초전도, 유전체, 자성체에 대한 이론을 배우고, 이를 토대로 다양한 고체 물질을 특성에 따라 분류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교과목이다.

반도체물리학

반도체 물질의 결정구조, 에너지 띠, 전자-홀의 이동, 불순물 도핑(doping) 등에 대한 이론을 배우고, 이를 토대로 반도체 소자의 원리 및 특성을 이해하는 내용의 교과목이다.

광학

광학현상을 고전 파동론과 양자론적 입장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교과목이다. 강의 내용은 파동의 중첩, 간섭과 회절, 빛의 전자기적 특성, 산란, 분산, 편광, 현대 파동광학이다. 또한 레이저와 Hologram를 만드는 방법과 그에 관한 연구도 언급된다.

플라즈마물리학

제 4의 물질상태인 플라스마의 기초적인 특성과 진단법 등을 공부하고, 반도체공정, 디스플레이, 핵융합 등 플라스마의 응용 방향에 대하여 배운다.

디스플레이반도체공정

PDP, LCD, 유기EL 등의 디스플레이 소자/장치와 DRAM, Flash 등의 반도체 소자/장치를 형성하는 공정 방법에 대해 중점적으로 공부한다.

반도체소자실험

물리전자학, 반도체공정, 고체물리학에서 배운 반도체 소자의 기본 이론을 실험을 통해서 이해한다.

디스플레이소자실험

정보디스플레이개론과 디스플레이공정 과목 등에서 배운 이론을 바탕으로 실제 LCD, PDP, 유기 EL 등 실험적으로 접근함으로 전문지식 및 실무능력을 갖춘 전문 인력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교과목이다.

현대광학

현대 광학에 대한 소개를 그 목적으로 한다. 전자기학 및 간섭/회절 이론을 기반으로 광자결정, 디스플레이광학, 나노광학, 바이오광학, 분광학 및 비선형광학등의 분야에서 광학 응용에 대해 공부한다.

세포생물학

인체를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생체 조직들의 주요 구성 성분인 진핵세포(cell)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과 함께 진핵세포 내에 존재하는 전자전달계를 통한 에너지 생성 등을 비롯한 세포 전반적인 내용들이 어떻게 다양한 물리, 화학반응 등과 연관이 되어 있는지를 이해를 하고, 생물학과 물리 및 화학 등의 타 학문 분야와의 연계된 폭넓은 응용 지식을 습득하고 이해도를 높이고자 한다.

생체재료학

의료용 생체재료로 사용되는 유무기 소재들에 대해서 강의하고, 재료와 생체 간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생체적합성과 재료 표면의 물리 및 화학적, 구조적 특성을 비롯하여 실제 병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생체재료들에 대해서도 소개를 함으로써, 현재 우리가 일상생활 속에서 직, 간접적으로 접하고 있는 생체재료들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자 한다.

생분자물리학

생명활동의 근본이 되는 생체분자들의 작용과 기능들을 생물물리학적, 생화학적 관점에서 해석하고 이를 적용하는 기술들을 소개한다.

바이오환경물리학

인간이 살고 있는 지구환경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생물과의 상호작용 및 환경오염과 해결 기술들을 공부한다. 최근의 환경문제들과 해결 기술개발도 소개한다.

플라즈마융합과학

저온대기압 플라즈마를 이용한 의과학 기술, 응용, 융합기술을 공부한다.

플라즈마바이오물리학

바이오 플라즈마와 유ㆍ무기, 액체물질 사이의 상호작용에 관한 바이오 기초 이론을 바탕으로, 바이오 플라즈마의 생명물질에의 적용에 따른 기본적인 원리 및 특성을 중점적으로 공부한다.

핵 및 의학영상물리학

영상을 얻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기본적인 물리 현상을 이해하게 하고 양질의 정보를 얻기 위해 방사선의 에너지나 수상기 물질을 선택하는 기준을 이해하게 한다. 양질의 정보를 얻기 위해 많은 에너지를 공급할 때 거기에 따르는 부작용에 대해서도 인식할 수 있게 한다. 방사선생물학 강의를 통해 방사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담당부서 : 자연과학대학 교학팀 / 연락처 : 02-940-5201
교육 KW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