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LAS 종합정보서비스
  • 발전기금
  • WEB-MAIL
  • SITEMAP
  • Search

동북아문화산업학부문화교류전공

위치 : 한울관 111호

학과문의 : 02-940-5480

팩스번호 : 02-940-5329

교과목안내

교과목 안내

동북아문화산업과진로 The Directions of Northeast Asia Cultural Industry Studies

동북아문화산업학부 졸업생들의 진로 파악하기, 동북아 문화산업에서 부상하는 새로운 일거리 찾아보기, 자신의 꿈과 동북아 문화산업 부문 일거리와 관계 맺기, 자신의 일거리 찾아보기를 통해 동북아문화산업학부 신입생에게 제대로 된 일거리 찾기에 도움을 준다.

문화분석

문화산업 기획과 교류에 필요한 문화 분석과 동북아 지역의 문화가 지닌 특수성을 이해하고 동북아 지역과 서구와 상호 비교 를 통해 문화기획자와 문화교류종사자의 문화인식을 제고한다.

문화마케팅 Cultural Marketing

마케팅적인 사고, 전략적 개념을 익힌다. 가치(Value)의 개념을 정립한다. 인문고전을 비롯한 다양한 개념을 통해 대중이자 소비자/ 나 자신이며 문화와 예술의 생산자인 인간에 대해 배우고 문화마케팅을 적용한다.

문화산업개론 Overview of Culture Industry

문화산업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필요한 ‘문화산업’의 기본적인 지식을 학습한다. 문화산업의 개념, 문화산업의 기원 및 역사, 문화산업의 철학적 기반 및 현대적 가치 등에 대해 배운다. 문화산업의 구체적인 분야로 나가기 위한 첫단계의 이론 공부이며, 이를 기반으로 문화산업의 실제 현장에 이를 적용해 볼 수 있다.

일본영상문화론 Japanese Cinema, Animation and Culture

영화와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일본의 영상문화를 연구하는 과목이다. 일본은 왜 시각문화가 발달했는가라는 근본적인 물음에서 출발하여 각각의 영상문화가 발전해온 양상과 그 특징들을 일본문화론적 틀에서 살펴본다.

한국영화문화론 Korean Cinema

한국의 영화를 중심으로 문화와 사회, 제도, 역사 등에 대한 다양한 문화적 현상을 연구할 것이다. 특히 주요 연출자와 그들의 작품 경향은 어떠한지, 이런 경향을 어떤 시각으로 바라볼 것인지 비판적 평가를 통해 한국 영화문화의 특성과 현주소를 파악한다.

변혁기의현대중국문학 Modern Chinese Literature and Its Transformation

20세기 초 서구 근대화 사상의 세례를 받았던 계몽기, 1949년 사회주의국가 수립 이후 문화대혁명 시기, 1980년대 초반 이후 개혁개방 시기 등 격변하는 역사 속에서 내용이나 사상 면에서 큰 변화를 겪게 되는 중국 현대문학에 대해 살펴본다. 현대문학 작품 속의 다양한 등장인물들을 통해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는 현대 중국사회를 이해한다.

탈근대의일본현대소설 Contemporary Japanese Literature and Post-modernism

일본 현대 소설을 통해 일본 근대에 형성된 국가주의 중심의 가치체계가 전후 일본사회에서 어떠한 문제를 낳으며 어떠한 양상으로 해체되어 가는지를 살피고, 나아가 근대적 가치체계의 해체 이후에 형성되고 있는 새로운 삶의 지향점을 확인함으로써 현대 일본 사회와 문화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킨다.

일본근대소설과문화 Modern Japanese Novels and Culture

일본 근대를 대표하는 문학작가의 대표 작품을 역사적, 제도적, 풍속적 시대배경을 조사하여 참고하며 읽고 작품에 담긴 작가의 시대적 문제의식과 이에 대한 사상적 전언에 대해 토론한다. 이를 통해 일본 봉건시대의 문화적 사상적 전통이 서구에서 유입된 근대 사상에 의해 어떠한 갈등과 문제를 빚으며 어떠한 방향으로 변화하여 새로운 문화와 사상으로 변용되어 갔는지, 그 양상과 의미를 확인한다.

현대문화이론 Contemporary Cultural Theory

문화에 대한 이론을 공부하는 과목이다. 문화에 대한 개념을 먼저 파악하고, 현대문화이론의 주요 흐름을 알아본 후, 다양한 문화이론으로 지금의 문화현상 분석하고 비판하는 능력을 배양할 것이다.

중국사회와시장분석 The analysis of Chinese market and society

기존의 2차자료로만 보던 중국의 사회와 문화를, 1차자료인 중국자료를 이용하여 읽는 교과목이다. 중국의 정치, 경제, 문화, 사회 등 각 방면에서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한 수업이며, 우리나라 언론과 해외 언론에서 중국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에 대한 시각을 객관적으로 다시 관찰하기 위한 수업이다.

한일문화비교론 Korean and Japanese Cultures in Comparative Perspective

한국과 일본 문화비교를 통해서 양국 사회와 문화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시각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문화비평연습 Practice in Cultural Criticism

현대문화이론 시간에 배운 문화이론을 토대로, 또는 자신이 알고 있는 문화이론과 지식을 바탕으로 실제 비평문을 작성하는 수업이다. 학기 전반부에는 비평의 정의, 비평의 방법론, 비평 작성법 등에 대해 공부하고, 학기 후반부에는 여러 문화이론으로 다양한 한국의 문화현상을 분석한 글을 학생들이 직접 써서 발표하고, 발표한 내용을 토대로 토론하며, 마지막으로 소논문을 작성해서 제출하는 수업이다.

문화산업과유통 Cultural Industries and the Circulation of Cultural Goods

영화, 애니메이션, 만화, 음악, 공연, 그리고 출판 등 동아시아의 문화산업에 대한 현황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지금까지의 발전과정을 살펴본다. 또한 국가 간 경계를 넘어서 유통되는 현상의 추적을 통해 국민국가의 경계와 자본의 움직임과의 역학구조를 고찰해본다. 여기서의 유통은 상품의 유통이라는 개념과 더불어 국경을 뛰어넘은 문화번역까지를 포함한다.

중국문화와문화산업분석

중국 문화와 문화산업이 지닌 특수성과 보편성을 분석하여 한국 문화기획자와 문화교류 종사자들이 중국 시장을 이해하고 중국문화산업과 교류할 능력을 제고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담당부서 : 인문사회과학대학 교학팀 / 연락처 : 02-940-5785
교육 KW University